생활정보 / / 2025. 3. 30. 02:00

2025년 비행기 보조배터리 용량 기준 및 배터리 안전지침 총정리

반응형

2025년부터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제가 강화되어, 용량에 따른 반입 제한과 안전 조치가 더욱 엄격해집니다. 이러한 변화는 항공 안전을 높이고 배터리 관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승객들은 새로운 규정을 숙지하고 준수해야 합니다.

 

썸네일

 

2025년 - 2026년 배터리 규정

 

2025년 1월 1일부터 IATA는 장비와 함께 운송되거나 장비에 포함된 리튬 이온 배터리(UN 3481 및 UN 3556)가 30%를 초과하지 않는 충전 상태(SoC)를 유지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권장 사항은 특히 2.7Wh를 초과하는 배터리와 100Wh를 초과하는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2026년 1월 1일부터 의무화됩니다.

 

30% SoC 한도는 열 폭주 위험을 줄이고 항공 안전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변경 사항과 함께 기존 규정이 계속 적용됩니다.

  • 100Wh 이하: 항공사 승인 없이 최대 5개까지 허용
  • 100-160Wh: 항공사 승인 시 최대 2개까지 허용
  • 160Wh 이상: 기내 반입 금지

 

2025년 비행기 보조배터리 용량 기준

2025년부터 비행기에서 보조배터리를 휴대할 때 용량 기준이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 100Wh 이하의 보조배터리: 최대 5개까지 휴대 가능합니다. 5개 이상일 경우 항공사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 100Wh ~ 160Wh의 보조배터리: 최대 2개까지 휴대 가능하며, 항공사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 160Wh 이상의 보조배터리: 탑승 시 완전히 금지됩니다.

또한, 보조배터리는 항공기 탑승 시 개인이 소지해야 하며, 오버헤드 빈에 보관할 수 없습니다. 또한, 비행 중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이 규정은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특히 최근 항공기에서의 리튬 배터리 관련 사고 증가에 대응한 조치입니다.

 

2026년부터 적용되는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제

2026년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제는 주로 리튬 이온 배터리의 상태 충전도(State of Charge, SoC) 제한과 관련이 있습니다. 2026년 1월 1일부터, UN 3481 및 UN 3556에 해당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제품은 최대 30%의 상태 충전도로 운송되어야 합니다.

 

이는 배터리 관련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가 포함된 장비나 차량의 경우 적용됩니다. 또한, 기존의 규제와 마찬가지로, 100Wh 이하의 보조배터리는 최대 5개, 100~160Wh는 최대 2개까지 탑승 시 소지할 수 있으며, 160Wh 초과는 반입 금지됩니다.

 

오버헤드 빈에 보관하는 것은 금지되며, 기내 충전도 금지됩니다. 2026년의 새로운 규제는 주로 배터리의 상태 충전도를 제한하는 것이며, 이는 국제 규제에 따라 시행됩니다.

 

2025년 비행기 보조배터리 용량 제한 설정된 이유

 

2025년 비행기 보조배터리 용량 제한은 항공기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설정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간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로 인한 기내 화재 사고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규정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2025년 1월 에어부산 화재 사건 이후, 국토교통부는 보조배터리의 화재 위험성에 대한 국민 불안을 고려하여 선제적인 대응을 결정했습니다. 이 규정은 100Wh 이하의 보조배터리는 최대 5개까지, 100~160Wh는 항공사 승인 후 최대 2개까지, 160Wh 초과는 반입 금지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러한 제한은 보조배터리의 발화 위험을 줄이고, 항공기 내 화재 예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조배터리는 기내에서만 반입 가능하며, 수하물로 위탁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것도 금지되어 있습니다.

 

비행기에서의 배터리 안전 지침

 

비행기에서 배터리를 휴대할 때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승객은 엄격한 지침을 따라야 합니다. 배터리는 기내 반입 수하물에 보관해야 하며 위탁 수하물에는 넣지 말고, 배터리 단자는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테이프나 보호 파우치로 보호해야 합니다.

 

배터리를 직사광선과 열원에서 멀리하고 머리 위 수납함이나 좌석 사이에 보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상되거나 부풀어 오른 배터리는 엄격히 금지됩니다. 승객은 비행 중 모바일 배터리 충전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항공사마다 규정이 약간 다를 수 있으므로 항상 해당 항공사에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기준, 단락방지 조치 방법 이미지보조배터리 기내반입 절차 및 대응 수칙 이미지

 

보조배터리 사용 시 주의사항

  1. 용량 제한 준수:
    • 100Wh 이하의 보조배터리는 최대 5개까지, 100~160Wh는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이 가능합니다. 160Wh 초과는 반입이 금지됩니다.
  2. 안전한 보관:
    • 보조배터리의 금속 단자가 다른 물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 테이프를 붙이거나 보호용 파우치에 넣어 보관해야 합니다.
  3. 기내 사용 제한:
    • 비행 중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며, 사용 후 과열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4. 비상시 대처:
    • 보조배터리가 과열되거나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승무원에게 알리고 사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5. 보관 위치:
    • 보조배터리는 기내 선반에 보관할 수 없으며, 좌석 주머니에 넣거나 몸에 지니고 있어야 합니다.
  6. 인증 확인:
    • 보조배터리는 KC 인증 마크가 있는지 확인하고, 항공사별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7. 이상 징후 발생 시 조치:
    • 보조배터리가 좌석 틈 사이로 빠지면 스스로 꺼내려하지 말고 승무원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비행기에서 배터리를 사용할 때 금지된 행동

  1. 160Wh 초과 배터리 반입 금지:
    • 160Wh를 초과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기내 반입이 금지됩니다.
  2. 기내 충전 금지:
    • 비행 중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는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3. 수하물로 위탁 금지:
    • 모든 보조배터리는 기내에서 소지해야 하며, 수하물로 위탁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4. 오버헤드 빈 보관 금지:
    • 보조배터리는 기내 선반에 보관할 수 없으며, 좌석 앞 주머니에 보관해야 합니다.
  5. 손상된 배터리 사용 금지:
    • 손상된 배터리나 기기는 탑승 시 반입할 수 없습니다.
  6. 단락 방지 조치 미준수:
    • 배터리의 단자가 금속과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 처리하지 않는 것은 금지입니다.

 

적절한 배터리 취급 팁

항공 여행 중 배터리를 안전하게 취급하려면 승객은 다음과 같은 주요 팁을 따라야 합니다.

 

  • 배터리를 보관할 때는 투명한 비닐봉지에 담아서 쉽게 볼 수 있게 하세요.
  • 단락을 방지하려면 배터리 단자를 전기 테이프로 덮으세요.
  • 가능하다면 배터리를 원래 포장 상태로 보관하여 추가 보호를 제공하세요.
  • 배터리는 위탁 수하물에 넣지 말고, 휴대 수하물에 보관하세요.
  • 금속 물체와 우연히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를 주머니에 넣지 마십시오.
  • 배터리가 과열된 경우, 즉시 승무원에게 알리고 기기를 만지지 마세요.

 

이러한 예방 조치는 리튬 배터리와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고 국제 항공 안전 표준을 준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행기에서 허용되는 배터리 종류

 

비행기에서 배터리를 사용할 때 허용되는 배터리 종류는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와 리튬 메탈 배터리입니다. 그러나 용량에 따라 제한이 있습니다.

 

리튬배터리 취급 관련 항공 위험물 운송기준 이미지

 

  1. 리튬이온 배터리:
    • 100Wh 이하: 기내 반입 가능, 항공사별로 최대 5개까지 허용됩니다.
    • 100Wh ~ 160Wh: 항공사 승인 후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합니다.
    • 160Wh 초과: 기내 반입이 불가합니다.
  2. 리튬 메탈 배터리:
    • 일반 전자 장비에 장착된 경우, 리튬 함량이 2g 이하인 경우만 허용됩니다.
    • 의료용 전자 장비(AED, CPAP 등)에 사용되는 경우, 리튬 함량 8g 이하까지 항공사의 승인을 받아 기내 반입이 가능합니다.

 

알카라인 배터리는 용량 제한 없이 기내 및 수하물로 반입할 수 있습니다. 항공사와 도착지에 따라 규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항공사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

 

  1. 라벨 확인:
    • 대부분의 배터리나 보조배터리에는 용량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패키지나 사용 설명서를 확인하세요.
  2. 수식 사용:
    • 배터리의 **볼트(V)**와 **암페어시(Ah)**를 곱하여 **와트시(Wh)**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12V 배터리가 8Ah라면, 용량은 12 × 8 = 96 12 ×8=96Wh입니다.
    • **밀리암페어시(mAh)**가 주어지면, 먼저 1000으로 나누어 Ah로 변환한 후에 곱합니다. 예를 들어, 12000mAh 배터리가 3.7V라면, 3.7 × ( 12000 / 1000 ) = 44.4 3.7 ×( 12000/1000 )=44.4Wh입니다.
  3. 온라인 검색:
    • 배터리 모델 번호를 온라인에서 검색하여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배터리의 용량을 정확히 확인하고, 비행기 탑승 시 규정을 준수할 수 있습니다.

 

비행기에서 배터리를 사용할 때 필요한 보호 장치

 

1. 절연 테이프:

  • 배터리의 단자가 다른 금속 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 테이프로 덮어 보관합니다. 이는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2. 보호 파우치:

  • 배터리를 보호 파우치에 넣어 충격과 단락을 방지합니다. 특히, 특수 방염 소재로 만들어진 파우치는 열폭주 시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투명 비닐봉지:

  • 보조배터리를 투명 비닐봉지에 넣어 눈에 보이게 보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는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을 돕습니다.

 

4. 내열 장갑:

  • 배터리가 발열할 경우, 승무원이 내열 장갑을 착용하여 안전하게 다루도록 합니다.

 

이러한 보호 장치는 비행기 내에서 배터리 관련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전자여권 발급 방법과 스마트패스 등록방법 총정리

전자여권은 여권 뒷면에 내장된 작은 칩에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새로운 유형의 여권입니다. 이 칩에는 사진, 지문 및 기타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자여권은 여행자의 신분을 확인하

hi.bhs0130.com

 

인천공항 무료 서비스 7가지 : 숨겨진 보석 찾기

인천공항은 세계적으로 뛰어난 편의시설과 서비스로 유명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널리 알려진 서비스들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천공항에서 숨겨진 보석과 같은 '잘 알

hi.bhs0130.com

 

인천공항 근처 호텔 8곳, 거리순으로 알아보기

해외여행 갈 때 새벽 비행기로 떠나게 되면 지방에 사시거나 서울권에 사시더라도 공항버스나, 전철도 너무 일러서 교통편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하루 먼저 공항 근처 호텔에 머물다 다음날 새벽

hi.bhs0130.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